설악산곰의하루
어느 여인의 서원(誓願) 본문
친정에 가면 어머니는 꼭 밥을 먹여 보내려 하셨다. 어머니는 내가 친정에 가면 부엌에도 못 들어오게 하셨고 오남매의 맏이라 그러셨는지 남동생이나 당신 보다 항상 내 밥을 먼저 퍼주셨다. 어느 날 오랜만에 친정에서 밥을 먹으려는데 여느 때처럼 제일 먼저 푼 밥을 내 앞에 놓자 어머니가 "얘 그거 내 밥이다" 하시는 것이었다.
민망한 마음에 "엄마 웬일이유? 늘 내 밥을 먼저 퍼주시더니..." 하며 얼굴을 붉혔다. "그게 아니고, 누가 그러더라 밥 푸는 순서대로 죽는다고 아무래도 내가 먼저 죽어야 안 되겠나." 그 뒤로 어머니는 늘 당신 밥부터 푸셨다. 그리고 그 이듬해 어머니는 돌아가셨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그 얘기를 생각하며 많은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남편과 나, 중에 누구의 밥을 먼저 풀 것인가를 많이 생각 했다. 그러다 남편밥을 먼저 푸기로 했다.
‘홀아비 삼년에 이가 서 말이고 과부 삼년에는 깨가 서 말’이라는 옛말도 있듯이 뒷바라지 해주는 아내 없는 남편은 한없이 처량할 것 같아서이다. 더구나 달랑 딸 하나 있는데 딸아이가 친정아버지를 모시려면 무척 힘들 것이다. 만에 하나 남편이 아프면 어찌하겠는가? 더더욱 내가 옆에 있어야 할 것 같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고통스럽더라도 내가 더 오래 살아서 남편을 끝가지 보살펴주고 뒤따라가는 게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때부터 줄곧 남편 밥을 먼저 푸고있다. 남편은 물론 모른다. 혹, 알게 되면 남편은 내 밥부터 푸라고 할까? 남편도 내 생각과 같을까? 원하건대 우리 두 사람, 늙도록 의좋게 살다가 남편을 먼저 보내고 나중에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진솔한 부부사랑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어머니의 자식사랑, 자식의 부모사랑이 겹겹이 표현되고 있어 감미롭고 가슴이 벅차오르는 글이었습니다. 요즈음 사랑은 표현해야 하는 시대로 알고 있습니다만 이 글처럼 푹 익힌 "누룽지"같은 사랑의 포근하고 넘치는 맛을 너무 잊어버리고 표면적 표현으로만 변해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아침입니다. (방초님의 블로그 옮긴 글)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3) 세 번’ 이라는 말 (0) | 2023.07.28 |
---|---|
모든 생명체(生命體) 자기 삶의 무게? (0) | 2023.07.27 |
마음이 좁아서 못살지, 집이 좁다고 못 사는 것 아니다 (0) | 2023.07.24 |
주전자의 겸손(謙遜,humility) (0) | 2023.07.23 |
아름다움과 너그러움을 채우는 지혜 (0) | 202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