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근본(根本)이 바로서야 만사형통(萬事亨通) .... 회사후소(繪事後素) 본문
근본(根本)이 바로서야 만사형통(萬事亨通) .... 회사후소(繪事後素). 자하가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巧笑倩兮 교소천혜) 아름답게 웃는 얼굴에 보조개가 예쁘네, (美目盼兮 미목반혜) 아름다운 눈의 맑은 눈동자가 선명하구나, (素以爲絢兮 소이위현혜) 흰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하도다!’라는 글은 무엇을 뜻하는 것입니까? 공자가 답하기를 "그림을 그리는 일은 먼저 흰 바탕을 마련해놓고 난 뒤에 한다(繪事後素 회사후소)"라고 하였다. 자하가 다시 물었다."예(禮)가 나중이라는 말씀입니까? (禮後乎 례후호)" 공자가 말했다. "나를 일깨워주는 사람은 상(商)이로구나! 비로소 함께 시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구나(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기여자, 상야! 시가여언시이의)"
여기서 자하(商)의 질문은 여인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옛 시<碩人(석인)-詩經衛風(시경위풍), 위나라 군주의 부인 장강의 아름다움을 찬미한 노래>의 한 구절에 대한 질문이었는데, 공자는 이에 대해 (繪事後素, 회사후소) 즉 “그림 그리는 일은 먼저 흰 바탕이 있는 뒤에 색을 칠해 다듬는 것이다”라고 일러준다. 자하는 “예 알겠습니다. 예(禮)가 뒤라는 말씀이군요”라는 답에 공자는 크게 성숙한 그의 소견에 흐뭇해하면서 “나를 일깨워주는 사람이 자하로다. 비로소 너와 더불어 시(詩)를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라고 덧붙인 것이다.
공자의 말은 '동양화에서 하얀 바탕이 없으면 그림을 그리는 일이 불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소박한 마음의 바탕이 없이 눈과 코와 입의 아름다움만으로는 여인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인데, 달리 말하면 밖으로 드러난 형식적인 예(禮)보다는 그 예의 본질인 인(仁)의 마음[어진 마음]이 중요하므로, 형식으로서의 예는 본질이 있은 후에라야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공자는 자하에게 유교에서 말하는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5가지 기본 덕목인 오상(五常) 중 가장 으뜸 되는 기본 덕목은 인(仁)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란 모름지기 어진 성품, 곧 인(仁)을 갖춘 뒤에라야 진정한 예를 행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어질지 않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회사후소(繪事後素)’ 즉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것은 본바탕을 희게 한 후에 비로소 가능하듯이, 우리가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도 먼저 근본을 바르게 한 후에 가능할 것이다. 그런즉 우리는 매사에 바탕 즉 근본을 중하게 여겨서 먼저 근본을 바르게 놓아야 한다. 그런데 인간만사의 근본은 우리의 마음에서 비롯되니, 우리가 마음을 어떻게 닦느냐가 만사의 변화와 발전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잠언 4장 23절). 그러므로 마음을 바르게 지키고 닦자! ‘대학 대학경(大學經)’에서는 말하기를, “그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자는 먼저 그 뜻을 성실(진실)하게 했으며, 그 뜻을 성실하게 하려는 자는 먼저 그 앎을 투철히 했는데, 앎을 투철히 함은 사물을 구명(究明)하는 데 있다.”고 하였다. 고로 우리는 자신의 마음을 수양(修養)하기 위해서는 먼저 삶에 임하는 진실한 뜻을 성실하게 지니며 불멸의 고전과 경전 그리고 자연의 이치 등을 탐구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마련한 다음에 해야 하듯이 내적인 아름다움을 먼저 갖춘 다음에 외적인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는 것이니, 우리가 아름다운 삶을 살기위해서는 ‘내면세계의 영적성장’이 가장 소중한 덕목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불멸의 경전과 고전 그리고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양심을 깊숙이 살펴보면서 마음을 수양하고 ‘내면세계의 영적 성장’을 도모할 수가 있다. (글, 소담 素淡)
2023년 7월이여~ 안녕~. Adieu 2023 July~ 폭염(暴炎)폭서(暴暑) 장마비,잔인(殘忍)한 2023년 7월 오늘이 마지막 날이다. 그러나 아직도 33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 1주일은 더 계속 되리라한다. 이제는 온난화시대 지나고 열대화시대 왔다고 하던가? 남극의 겨울 눈(雪)대신 비(雨)온다는 소식이니 혹? 세상에 회자(膾炙)되는 말세(末世)오는 것 아닌가 괜한 걱정이다. 이것이 모두 우리 인간이 기본을 지키지않은 죄(罪)와 벌(罰). 설악산 곰은 이제 님의 배려로 나름 행복하게 잘 살았다고 자위하지만 손자들 눈망울 발에 밢힌다.순천자흥(順天者興) 역천자망(逆天者亡) 간단한 말 머리에 떠 오른다. 그러나 우리는 착하게 열심히 살아야한다. 머지않아서 시원한 열매의 계절 가을 될것이며 즐거운 중추절(仲秋節) 올 것이다.(설악산곰)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의기도, ‘은혜(The Grace)’ (0) | 2023.08.01 |
---|---|
유유상종(類類相從)...마부(馬夫)와 농부(農夫) 이야기 (0) | 2023.07.31 |
“나는 통념에 반하는 모든 과학에 관심 있죠. (I’m interested in all science that confronts prevailing attitudes.)” 영화영어 (0) | 2023.07.30 |
폭군(暴君) 비위 맞추기 ...아부(阿附)인가? 지혜(智慧)인가? (0) | 2023.07.29 |
중년(中年)의 행복 1순위? = 격의(隔意)없는 우정(友情)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