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이한우의 간신열전, 피음사둔(詖淫邪遁) 본문
이한우의 간신열전, 피음사둔(詖淫邪遁) ‘논어’의 대미를 장식하는 문장은 이렇다.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 (不知言 無以知人也)” 말을 안다(지언知言)는 것은 어떤 사람이 하는 말을 듣고서 잘 살펴 그 속을 정확히 읽어낸다는 뜻이다. ‘맹자’에서 제자 공손추가 “어떠해야 말을 안다고 할 수 있습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이렇게 답한다.
“편벽된 말(피사詖辭)을 들었을 때 그것이 숨기고 있는 게 무엇인지를 알고, 방탕한 말(음사淫辭을 들었을 때 그것이 어떤 함정에 빠져 있는지를 알고, 간사한 말(사사邪辭)을 들었을 때 그것이 실상과 얼마나 괴리되어 있는지를 알고, 둘러대며 회피하는 말(둔사遁辭)을 들었을 때 그것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궁한지를 아는 것이다. 이 네 가지는 그 말하는 사람의 마음에서 생겨 나와 정사(政事)에 해를 끼치고 그것이 정치에 반영되어 정치, 정책으로 구현되어 나라의 일에 해를 끼치게 되니 공자와 같은 위대한 인물이 다시 나오신다 해도 지언(知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반드시 내 견해를 따를 것이다.”
피사(詖辭)는 입만 열면 검찰 개혁 운운하는 조국 전 법무 장관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때는 그가 이 말을 통해 무엇을 노리고 있는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핵심이다. 음사(淫辭)란 공정한 대학 입시를 첫 정책으로 발표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대표적 사례이다. 사사(邪辭)란 ‘윤석열의 강’ 운운하는 ‘조국의 강’ 주인공이 대표적이다. 둔사(遁辭)는 자녀 입시 비리에 관해 끝내 한마디 사과도 하지 않은 채 무간지옥 운운하는 조국 전 서울대 교수 입에서 나온 거의 모든 말들이다.
맹자는 네 가지만을 들어 이야기했지만 파고들면 그 유형은 훨씬 많을 것이다. 아무리 유형이 많아진다 한들 얼마 전 조국혁신당 조 대표랑 만나 공동 투쟁 운운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거의 해당될 것이다. 동기상구(同氣相求)라는 말이 있다. 같은 기운을 가진 사람은 귀신같이 서로를 찾는다는 말이다. (글,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의 거짓말쟁이 김의겸, 아까워서 이죄명 어떻게 버렸을까? (3) | 2024.03.08 |
---|---|
다산(茶山)정약용(丁若鏞)의실학....오늘너를무죄이기에석방한다! 금일여백방의(今日汝白放矣)! (3) | 2024.03.08 |
정청래, 너 이놈! (0) | 2024.03.02 |
이재명/문재인 부부(夫婦)의 공인(公人)의식.. 좌파들의 생각? 삼일절 아침에 분한 마음 (3) | 2024.03.01 |
의사면허, 환자생명 지키라고 준 것, 자기 주장하더라도 병원은 지켜야.... (0)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