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설악산곰의하루

어떤 삶이 잘 사는 삶인가? 본문

불경

어떤 삶이 잘 사는 삶인가?

설악산곰 2024. 8. 9. 03:45

우리 인간이란 본래 어디에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지? 또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며 그저 막연히 생겨났으니 살 때까지는 죽지 못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 고달픈 삶에 쫓기다 보면 이런 문제들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각박한 현실 생활이 아닐까? 그러나 우리는 이런 문제들을 생각하기 이전에 벌써 살고 있는 것이며 그러하여서 여기서 나는 잘 사는 문제를 가지고 말하려 한다.

농사짓는 사람이나 장사하는 사람이나 고기 잡는 사람이나 공장 직공 정치인 학자 종교인 심지어는 석가 공자 예수에 물어볼지라도 잘 살려는 마음 즉 이 한 생각만은 똑같이 가지고 있으리라 이 글을 쓰는 나도 그렇고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그러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사는 것을 잘 산다고 할 수 있는가? 인간이 누구나 잘 살려는 이 한 마음을 가졌을진대 잘 살 수 있는 어떤 법칙이 필요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나는 잘 사는 법을 말하기 전에 먼저 어떤 것을 잘 사는 것이라고 하는가를 우리 인간들 모두에게 묻고 싶다.

세계의 경제를 한 손에 넣고 주무르는 재벌이나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제왕이 되거나 또 사자후(獅子吼)의 웅변을 토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이 서늘하게 만들고 천하의 독자를 붓 하나로 놀라게 하는 큰 문호(文豪)가 된다면 이것을 일러 잘사는 것이라고 할 것인가? 부귀와 명예를 헌 신짝같이 던져 버리고 뜬구름 흐르는 물로 살림을 삼아 ‘천상천하 유아독존’인 양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을 일러 잘 사는 사람이라 할 것인가? 아니다.이 모두가 겉치레의 잘사는 방법이 될지는 몰라도 참된 의미에서 말하는 잘사는 방법은 되지 못하리라.

그러면 어떤 것이 잘사는 것인가? 부족함이 없는 것이 잘 사는 것이요, 구할 것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원망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성냄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미움과 질투가 없는 것이 잘 사는 것이요, 공포와 불안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강제와 속박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해탈과 자유가 있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게 잘사는 것이요, 더 위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마음에 흡족한 게 잘 사는 것이다.

인간의 일평생을 백 년이라 한다면 이 일평생을 흔히들 살아간다고 한다. 이 귀중한 한평생을 무엇을 위해서 살아야 하고 또 누구를 위해서 살고 있단 말인가? 우리는 흔히 이런 문제들을 전혀 생각하지 못한 사이에 머리엔 흰 머리카락이 얹어있고 얼굴엔 주름살이 잡힐 수가 있다. 만일 인간들이 이런 이유를 모르고 그저 먹고 자고 성생활만을 지탱해 나간다면 이는 저 금수들의 생활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 사람들은 흔히들 살아간다고 한다. 그러나 살아간다는 말은 아무런 내용이 없는 말이다. 가령 인간이 백 년의 삶의 권리를 가지고 와서 하루 살았다는 말은 하루 죽었다는 말 이외에 또 무슨 다른 뜻이 있다는 말인가. 그러니까 1년을 살았다는 말은 곧 1년을 죽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살아간다는 말은 죽어간다는 말이 옳을 것이다.

우리가 농사짓고 장사하고 정치하고 경제하고 종교를 믿는다는 것은 죽지 않으려는 것인데 그래도 죽어야만 하는 것이 우리 인생이 아닌가. 이는 참으로 비참한 사실이다. 또 권력, 재력 그 무엇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일이다. 인간의 일생을 따지고 보면 죽음이라고 하는 큰 구렁이한테 뒷다리를 물려 입으로 들어가는 개구리의 운명과 다를 것이 없다. 그런 인간들이 살려고 발버둥 치는 것을 볼 때는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구렁이한테 물린 개구리는 구렁이 배에 완전히 들어가기까지
오직 구렁이 자신이 결정할 것이지 개구리에겐 아무런 자유도 없다. 마찬가지로 우리 인간의 죽음도 인간의 자유의사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직 죽음 그 자체에 의해서만이 결정된다.

천하의 영웅과 만고의 호걸도 이 죽음 앞에서 아무런 반항도 못 하고 그저 순종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현실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마치 남의 일처럼 새카맣게 잊고 살아가고 아니 죽음이라는 구렁이 앞에 다가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세계에서 잘난 사람 못난 사람 과학자 종교가 철학자 등 일체중생이 누구나 다 업보 중생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보는 견해도 역시 업안(業眼)으로 밖에는 보지를 못함이 또 사실이다. 우리 일체중생이 이 업안을 해탈하여 진리의 눈(心眼)으로 세상을 보고 살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런 진리의 눈(法眼)을 만들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느냐.

심성수양(心性修養) 곧 어두운 마음을 밝게 함이니 견성(見性)이다. 견성(見性)이란 자기 성품(바탕) 자리 일체만유(一切萬有)의 본성(本性) 자리 곧 진리이니 이 진리인 본심 자리를 맑고 청정히 가져 만사만리(萬事萬里)를 통찰할 줄 아는 지혜(慧眼)의 눈을 얻는 것이다. 중생의 육안(肉眼)으로는 아니 보이나 이상하고 묘하게도 성품(性品)은 각자가 모두 지니고 있으면서도 못 보고 못 찾는 것이 묘한 이치라 할 수 있겠다. 그럼 어떻게 하여야 각자가 품고 있는 성품을 보고 이 고해에서 헤어날 수 있는가. 범부(凡夫) 중생은 탐내는 마음,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과 재물에 대한 욕심, 색에 대한 욕심, 음식에 대한 욕심, 오래 살고자 하는 욕심, 명예에 대한 욕심 등 다섯 가지 즐거움을 누려보고자 하는 병에 걸린 환자들이다.

그러니 이 탐·진·치 삼독(三毒)과 오욕(五慾) 병을 고치지 아니하고는 자기 성품을 볼 수 없느니 먼저 삼독과 오욕락을 버리고 육바라밀을 행해 나가야 한다. 그렇게 해서 죽음에 직면해 있는 우리 일체중생이 불안과 공포에서 헤어나서 영원한 절대 자유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현실 세계를 사바세계(娑婆世界)라 한다. 모든 생명이 살아감에 서로 빼앗고 서로 죽이고 잡아먹고 약육강식(弱肉强食)하는 하나의 수라장(修羅場)이라 함이 무리가 아니니 이 현실 세상은 과거 무량겁을 내려오며 서로가 지어놓은 죄악의 업력(業力)으로 만들어진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보복(報復) 결산장(決算場)이라 서로가 지은 바 업력(業力)과 업보로 괴로운 재난이 눈앞에 전개됨은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인과응보의 법칙이라는 걸 깊이 깨달아 자기 성품을 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성품을 보라고 함은 나의 실체(實體), 존재성(存在性)을 알라고 함이요, 나의 실체를 알라고 함은 나의 영원 삶을 터득함이다. 우리 인간이 이것 이외에 또 무슨 할 일이 있단 말인가? (청담큰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