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설악산곰의하루

진심으로 참회하고 비나이다 ..... 참회게(懺悔偈) 본문

불경

진심으로 참회하고 비나이다 ..... 참회게(懺悔偈)

설악산곰 2024. 5. 16. 01:37

        진심으로 참회하고 비나이다 ..... 참회게(懺悔偈)

아석소조제악업(我昔所造諸惡業) 아득한 과거부터 지어왔던 모든 악업
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瞋痴) 크고작은모든것이 탐진치로 생기었고
종신구의지소생(從身口意之所生) 몸과입과뜻을따라 무명으로 생겼기에
일체아금개참회(一切我今皆懺悔) 저희들은 진심으로참회하고 비나이다

참회는 부끄러움을 주고 비참한 심정을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참회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부끄러움과 잘못됨을 뉘우쳐 다시는 그와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게 하기 위함이고, 둘째, 잘못된 행위를 함으로써 계속해서 후회와 두려움과 불안에 떨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참회는 반성의 의미와 동시에 ‘무외(無畏, 두려움 없음)’를 이루게 하는 길입니다.

수행의 길에서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지부진한 이유는 가지가지입니다. 그런데, 그중에서 가장 큰 방해 요소가 되는 것이 무참 무괴 때문이라고 합니다. 참회하고 뉘우치고 반성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뻔뻔하게 혹은 멀뚱멀뚱 지나치다 덜미를 잡힌다는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부터 보름에 한번씩 수행자들이 모여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고, 도반들이 인식 못한 잘못을 지적해주어 무참 무괴한 상태를 벗어나도록 했습니다. 그같은 훌륭한 전통이 제대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국불교 뿐만 아니라 모든 종파를 초월한 불교의 문제가 파생되었다고 봅니다.

참회는 특히 계율과 관계가 있습니다. 출가수행자는 비구계와 비구니계를 통해 보다 많은 참회의식이 있으나, 재가자는 삼귀의 오계를 통해 혹은 보살계를 통해 참회의 기준을 삼습니다. 삼귀의는 불법승 삼보에 대한 공경심과 믿음을 말하는데, 이것은 기독교의 유일신에 대한 신앙 고백과는 다릅니다. 삼귀의는 부처님을 깨달으신 스승으로 인정하며, 그분의 가르침이 보편적 진리임을 수행하겠다는 약속이며, 그같은 수행자 무리인 승가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의미합니다. 천지를 창조했다거나 나의 구주이시며 그리스도이시고 창조주이시라는 신앙고백과는 같을 수가 없는 겁니다. 오늘도 성불하는 마음이면 마(魔)없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