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권력(權力)잃으면 .... ‘왕따’ 이후 사라지게 마련이다 본문
권력(權力)잃으면 .... ‘왕따’ 이후 사라지게 마련이다. 초원의 제왕이라 불리는 ‘라이언 킹’들은 특징이 있다. 우람한 몸집에 검은빛이 감도는 갈색 갈기다. 이런 갈기를 바람에 휘날리며 달리거나 우뚝 선 모습은 제왕의 풍모 그 자체다. 하지만 살아있는 것에 영원한 건 없는 법. 어느 날 강력한 도전자를 만나 패하는 순간, 제왕은 추락한다. 새로운 제왕에게 쫓겨나며 하루아침에 모든 걸 잃는다. 그동안 사냥은 암컷 사자들에게 맡기고, 이른바 국방의 의무라 할 수 있는 외부 침입 방어를 주로 담당해 왔던 터라 삶의 질 역시 급전직하한다. 혼자서 먹고살아야 하는 것도 고통스럽지만, 무엇보다 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권력을 잃었다는 위축감에 짓눌려서인지 급속하게 힘을 잃고 노쇠해지다 곧 사라진다.
사자만이 아니다. 영장류 학자 프란스 더발은 ‘침팬지 폴리틱스’라는 책으로 유명한데, 그의 관찰에 의하면 이런 일은 침팬지 사회에도 으레 있는 일이다. 추락한 어제의 권력자는 멍하니 먼 곳을 바라보곤 했고, 주변에 무관심했으며, 몇 주일 동안이나 먹지 않았다. 혹시 아픈가 해서 진찰을 했으나 아무런 이상도 없었다. 하지만 위풍당당하던 모습은 오간 데 없었고 ‘권력을 잃은 얼굴에서는 광채가 사라졌다’.
재미있는 건, 그가 근무하던 대학에서도 이런 일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비극의 주인공은 상당한 명성과 자부심을 가진 한 교수였는데, 그와 견해를 달리한 몇몇 젊은 교수들에게 ‘도전’을 받아 주도적으로 추진하던 일이 무산되었을 때였다. 생각지도 못한 일로 낭패를 당한 그는 ‘얼굴에서 핏기가 사라졌고’ ‘갑자기 10년은 더 늙어 보였’으며 ‘권좌에서 물러난 침팬지처럼 공허하고 유령 같은 표정을 지었다’. ‘몇 주가 지난 후, 복도를 걸어가는 그의 자세는 이전과 눈에 띄게 달라져 있었’고 말이다.
모든 사회에는 나름의 질서가 있고 대체로 서열 시스템이 이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서열은 힘 같은 영향력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런 힘은 사자의 갈기 같은 상징으로 나타난다. 자신에게 이만한 힘이 있다는 걸 세상에 알리는 것이다. 문제는 올라가는 날이 있으면 내려오는 날도 있다는 것. 높이 올라갈수록 추락하는 높이 역시 비례하다 보니 바닥으로 떨어질 때의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놀랍게도 이런 일은 생쥐와 닭들의 사회에서까지 볼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을 두루 관찰한 더발의 말이 섬찟하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정상에 오르려 하는 자가 궁극적으로 치러야 할 대가는 죽음이다.’
얼마 전 비교적 ‘젊은 나이’에 갑자기 심장마비로 세상을 뜬 리커창 전 중국 총리의 죽음 역시 이런 맥락일 텐데, 맨주먹으로 정상 바로 근처까지 갔지만 제대로 뜻을 펴보지 못하고 밀려난 마음을 추스르기가 쉽지 않았던 것 같다. 방심은 화를 부르지만 낙심은 죽음을 부르는가 싶다. (출처, 동아일보. 글,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 연구소장)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명심해야할 사람들이 많다. 2024년4월 총선(總選) 제발, 도덕 양심 기초질서 상식이있는 22대 국회되기를.....정말 지겹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도,해도 너무하는 민주당 .... (1) | 2023.11.10 |
---|---|
간신(奸臣)열전 .....누구누구의 범안(犯顔)과 범상(犯上) (3) | 2023.11.09 |
말(言)이 많으면 화(禍)당하는 것이다..... 사군삭사욕의 붕우삭사소의 (事君數斯辱矣 朋友數斯疏矣) (0) | 2023.11.07 |
대통령 각하! 민주당 양심있는 일부 의원들과 술 한잔 하세요! (1) | 2023.11.02 |
작년 핼러원데이 이태원 참사...정부의 역할 크게 잘못되어 책임도 크지만 사건의 성격을 좀더 솔직하게 말해보자!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