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친구야! 너 그거 아니? 사람은 죽는것도 실력이 있어야 돼” 본문
요즈음 들어 장례식장에 갈 일이 많아졌다. 친구 부모님들이 한분 두분 세상을 떠나기 때문이다. 이미 80대 중반을 넘어선 부모님들은 날이 갈수록 몸이 쇠약해진다. 몇 달전 나 역시 투병하던 시어머니를 보내드렸다. 예상했던 어머님 인생을 떠올리며 슬픔에 목이 매었다. 그리고 새삼스레 오래된 숙제를 꺼내 들었다. 끝까지 존엄하게 살다 가려면 과연 무엇이 필요한가. 그 답을 찾은 곳은 다른 장례식장 이였다.
친구 아버님을 추모하는 자리에서 친구가 말했다. “미경아! 너 그거아니? 사람이 죽는것도 실력이 있어야 돼. 그런 면에서 우리 아버지는 정말 대단한 실력으로 끝까지 스승 노릇을 하셨어” 고인은 반년전 6개월 시한부 판정을 받으셨다고한다. 갑자기 닥친 죽음 앞에서 당황할 법도하지만 그 분은 차분히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했다. 혼자 살 아내를 위해 자그마한 집으로 이사를 하고, 재산을 정리해 자식들에게 선물처럼 조금씩 나누어 주셨다. 그리고 이런 말씀을 남기셨다. “사람은 마지막까지 잘 아파야되고, 잘 죽어야된다. 그래서 아버지가 아플 비용, 죽을 비용을 다 마련해 놨다. 너희들 사는것도 힘든데 부모 아픈 비용까지 감당하려면 얼마나 힘들겟냐. 아버지가 오랫동안 준비해 놨으니 돈은 걱정말고, 나 가기전까지 얼굴만 자주 보여다오”
그리고 그는 스스로 정한 병원에 입원하셨다. 임종을 앞두고 의사에게 ‘심정지가 오면 연명치료를 하지말라’는 약속을하고 문서에 서명까지 직접하셨다. 자식들에게 아버지 연명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아품을 절대 주고 싶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임종(臨終)이 가까워서는 1인실로 옮기기로 미리 얘기해 두셨다. 자신의 시달림 고통에 힘겨워하는 모습을 보고 누군가 겁 먹을수있으니 가족들과 조용히 있고 싶다는 뜻이였다.
친구의 아버님이 마지막으로 하신 일이 있다. 가족들 모두에게 각각의 영상 편지를 남기신 것이다. 아들 딸 며느리 사위 그리고 손자들에게 가슴 뭉클한 작별의 인사를 하며 영상 끝에 이런 당부를 남기셨다고한다. “사랑하는 딸아! 아버지가 부탁이 있다. 한달에 한번씩은 하늘을 봐라 아버지가 거기에 있다. 너희들 잘 되라고 아버지 하늘에서 기도 할테니 꼭 한달에 한번씩은 하늘을 보면서 살아라. 힘들때는 하늘을 보면서 다시 힘을 내거라“
그분은 자식들에게 마지막까지 존경스러운 스승의 모습으로 살다 가셨다. 어떻게 아파야 하는지, 죽는 모습이 어때야 하는지. 존엄을 지키면서 인생을 마무리 한다는게 어떤것인지 몸소 보여준 것이다. 우리는 주로 뭔가를 ‘시작’할 때 준비라는 단어를 붙인다. 결혼준비, 출산준비,취업준비 ... 그러나 마무리에는 준비(準備)라는 단어를 붙이지 않는다. 은퇴준비가 그토록 허술하고 임종준비라는 단어는 금기시 되어버린 이유이다. 그래서 많은 이들은 60대 이후를 남는 힘, 남은 돈으로 살려고한다. 그러나 자식들 공부시키고 먹고 살고 바쁜 현실을 버티다보면 어느새 거짓말처럼 노후가 눈앞에 다가와 있다.
그때부터라도 정말 ‘잘 죽을 준비’를 시작해야한다. 그러지 않으면 자식들 형편에 따라서 아프고, 자식들 돈에 맞추어 병원에 끌려 다녀야한다. 부모 입장에서는 존엄이 사라지는 데다가 자식들에게 너무나 미안한 상황이 벌어진다. 그 때문에 있는대로 자식들에게 주지말고, 내 자존감을 지키며 마지막을 잘 정리할 수 있는 비용은 반드시 남겨 둬야한다.
더 중요한 것은 자녀에게 후회와 원망 대신, 아름다운 추억과 스승다운 모습을 남길수있도록... 돌아가신 부모를 생각하면 미소 지을수있도록... 마지막 실력을 보여 줘야하는 것이다. 그게 어디 보통실력인가? 60이 넘으면 고집(固執)이 세져서 남의 말을 안 들으니 스스로라도 배우고 깨달아야한다. 인간의 삶과죽음에 대한 통찰이 담긴 공부를 해야만 하는 이유다. 그렇게 애 써야 마지막에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죽을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잘 죽는 것이야말로 한 사람의 인생이 담긴 진짜 실력이다. (글,김미경,김미경 tv 대표)
좋은글이기에 설악산곰도 나의 아들, 딸에게 위의글 전송한다. 나는 위의 글 내용중 너희들에게 영상편지 남길 용기는 없다. 그래도 아버지 여행간후에는 한달에 한번씩만이라도 꼭 하늘을 쳐다봐주기를 바란다. 나도 너희들이 잘 되기를 하늘에서 늘 기도하고 있을 것이다. 표현이 어색하여 자주 말은 못하였다마는 “나~너희들! 많이 사랑하였다!!” 꽃피는 계절에 위와같은 무거운 글을 인용하는 이유는 인명은 재천이요, 봄에 겨울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노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세계.... 늙은 수컷은 불쌍하다 (0) | 2023.04.05 |
---|---|
인간아! 인간아! 왜 사니? (0) | 2023.04.05 |
석양(夕陽)처럼 황홀하게, 황혼(黃昏)을 아름답게..... (0) | 2023.04.01 |
“은퇴하면 어떻게 살아야하나?” 선배의3가지조언=3대불안(건강,통장, 고독)을 해결하라 (0) | 2023.03.29 |
늙으면 어데서, 어떻게 살아야 옳은가?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