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독소(獨笑)독소(獨笑) 혼자 웃자! 혼자 웃자! 본문
홀로웃다,,조선 정조시대 실학자 다산 정약용(茶山丁若鏞.1762~1836) 선생께서 1804년 유배지 강진에서 쓰셨다는 시조 '독소(獨笑)'입니다.
독소(獨笑)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有粟無人食 (유속무인식): 살림이 넉넉하여 양식 많은 집엔 자식이 귀하고 多男必患飢 (다남필환기): 자식이 많은 집엔 가난하여 굶주림이 있다 達官必憃愚 (달관필창우): 높은 벼슬아치는 꼭 멍청하고 才者無所施 (재자무소시): 재주 있는 인재는 재주 펼 길 없다.
家室少完福 (가실소완복): 집안에 완전한 복(福)을 갖춘 집 드물고 至道常陵遲 (지도상능지): 지극한 도(道)는 항상 쇠퇴하기 마련이다 翁嗇子每蕩 (옹색자매탕): 부모가 절약하여 재산을 모으면 자식들은 방탕하고 婦慧郎必癡 (부혜낭필치):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바보짓을 한다.
月滿頻値雲 (월만빈치운): 보름달 뜨는날은 구름이 자주 끼고 花開風誤之 (화개풍오지): 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댄다 物物盡如此 (물물진여차): 세상일이란모두 이런 거야 獨笑無人知 (독소무인지): 나 홀로 웃는 까닭을 누가알아줄까?
나 홀로 웃는 까닭을 누가알아줄까 ! 위의 다산 정약용(丁若鏞) 선생의 “홀로 웃다(獨笑)” 위의 한시(漢詩) 내용은 달리 설명이 필요없이 시(詩)내용 그대로다. 12줄의 내용이 보편적인 우리의 삶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선생은 세계사에 어떤 석학(碩學)과 견주어도 상석(上席)에 모실 분이다. 한국사의 자랑이요 자존심이다. 하지만 자신의 시 “홀로 웃다(獨笑)” 처럼 허탈하게 웃을수 밖에없는 것이 세상사다.
다산선생이 강진유배 중에 쓴 책이1000여권, 그중에서 “경세유표(經世遺表)”라는 책은 참고자료에서 기존 제도들의 모순에 대한 뼈아픈 통찰과 지적을 남기며 당시 조선의 현실에 맞도록 정치, 사회, 경제 제도를 개혁하는 부국강병을 이루는 데 목표를 두자는 내용의 국정개혁의 중요한 책이다.
다산초당(茶山艸堂)은 단순히 강진만 바다가 넓게 펴진 아름다운 관광 유적지라 생각하면 안된다. 한 인생의 포부를 짓밟힌 한 맺힌 곳이다. 그렇다고 “구천(句踐)이 오(吳)나라에 복수하기 위해 와신상담(臥薪嘗膽)”을 할 수 있는 다산초당 (茶山艸堂)도 아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고향인 경기도 광주(廣州)현 경기도 남양주시(조안면 마재)에 실학박물관이 있다.
여기에 다산의생가 당호(堂號)를 “여유당(與猶堂)” 이라 했다. 다산 선생이 강진 귀양이 풀리고 바로 고향으로 가서“여유당(與猶堂)” 이라 당호를 붙이고 돌아가실 때까지 “숨도 크게 안 쉬고” 살았다고 한다. “여유당(與猶堂)” 은 노자(老子)도덕경의 한 구절로 마치 코끼리가 살얼음 위를 걷듯이 조심조심 산다는 뜻이다. 이렇게 한 시대의 위인 (偉人)이 갔다. (방초님의 블로그에서 옮김) 양수리 두물머리 연꽃 만발할 때 다산 선생님 박물관 참배하여야 하는데......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춘(靑春)을불사르고..김일엽(金一葉)과 그의아들 김태신(金泰伸)화백 (0) | 2023.07.07 |
---|---|
내 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청포도 (이육사) (0) | 2023.07.07 |
소첩은붉은연꽃될터이니 낭군은꽃아래물결되어오래오래사랑하며삽시다 (0) | 2023.06.17 |
고단(孤單)한 삶? (0) | 2023.06.16 |
이해인 수녀님의 ‘꽃잎 한 장처럼’ (1)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