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설악산곰의하루

여인의 유혹? 본문

좋은시

여인의 유혹?

설악산곰 2024. 1. 13. 03:34

          소년유(少年遊)                                                          주방언(周邦彦·1056∼1121)

병도여수(幷刀如水) 오염승설(吳鹽勝雪) 섬지파신등(纖指破新橙) 금악초온(錦幄初溫) 수향부단(獸香不斷) 상대좌조신(相對坐調笙) 저성문( 低聲問) 향수행숙(向誰行宿?) 성삼이삼경(城上已三更) 마활상농(馬滑霜濃) 불여휴거(不如休去) 직시소인행(直是少人行)

물빛처럼 번뜩이는 병주(幷州) 과도, 눈보다 고운 오 지방 소금, 갓 익은 귤을 까는 섬섬옥수. 비단 장막 안은 이제 막 따스해지고, 향로에선 쉼 없이 향훈이 번지는데, 마주 앉아 여인은 생황(笙簧)을 연주한다. 낮은 목소리로 묻는 말. “오늘 밤 어느 곳에서 묵으실는지? 성안은 이미 야심한 삼경, 서릿발에 말이 미끄러질 터니 차라리 쉬었다 가시는 게 좋겠어요. 길엔 나다니는 사람도 드물답니다.”

시(詩)가 정중하고 엄숙한 분위기라면 사(詞)는 경쾌하고 자유분방하다. 시가 사대부 문학의 정수라면 사는 연회나 주루(酒樓)의 여흥 분위기를 돋우는 유흥 문학의 성격이 강하다. 가사의 속성상 근엄한 메시지보다는 평이하고 직설적인 표현을 써야 호소력이 더 도드라지는 법이다. 노랫말에 고답적인 삶의 이치나 인간의 도리 따위를 담는다면 누가 반기겠는가.

이 작품은 사(詞)의 이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연인 사이인지 아니면 주루에서의 하룻밤인지는 알 수 없다. 비단 장막을 두른 것으로 보아 이 방의 주인은 아마 여인, 갓 익은 귤껍질을 벗기는 섬섬옥수의 주인공이겠다. 잘 드는 과도와 백설 같은 소금을 준비한 것으로 보아 시고 쓴맛이 도는 귤 위에 살짝 소금을 칠 모양이다. 길상(吉祥) 동물 형상의 향로에 향을 피우고 생황 연주까지 곁들였으니 그 대접이 여간 곡진하지 않다. 급기야 나지막이 건네는 한마디. ‘야심한 데다 서릿발로 길이 미끄러우니 쉬어가시라.’ 배려인 듯 애소(哀訴)인 듯 여인의 농염한 유혹에 밤이 무르익고 있다. 송 휘종(徽宗)과 기녀 이사사(李師師)의 밀회 장면을 묘사한 거라는 믿기 어려운 야사의 기록도 있다. (글,이준식 성균관대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