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곰의하루
이태백은 왜, 그렇게 술 좋아했을까? 본문
조왕역양불긍음주(嘲王歷陽不肯飮酒) 이백(李白·701∼762)
地白風色寒(지백풍색한) 雪花大如手(설화대여수) 笑殺陶淵明(소살도연명) 不飮杯中酒(불음배중주) 浪撫一張琴(랑무일장금) 虛栽五株柳(허재오주유) 空負頭上巾(공부두상건) 吾於爾何有오어이하유) 대지는 백설로 뒤덮이고 바람은 찬데, 주먹만 한 눈송이가 공중에 흩날린다. 도연명이 웃다 자빠지겠소. 잔 그득한 술을 마시지 않겠다시니. 그대 거문고 어루만져 봐야 부질없고, 버드나무 다섯 그루 심은 것도 헛된 노릇. 머리 위 망건도 괜히 쓴 것이려니, 내 존재가 그대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
주선(酒仙) 이백의 수많은 권주가 중 또 하나의 색다른 권주 방식. 비웃기라도 하듯 상대의 취향을 조목조목 열거한다. 시제가 흥미롭다. 자신을 위해 특별히 주연까지 마련했는데 왜 그를 놀리는 걸까. 놀림이라기보다는 주흥을 돋우려는 우스갯소리로 이해하면 되겠다. 게다가 성 뒤에 이름자 대신 상대가 거주하는 역양(歷陽)이란 지명을 붙인 건 상대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기도 하다. 백색 천지에 쏟아지는 함박눈, 음주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된 이참에 도연명을 존숭한다는 그대가 술을 마다한다? 도 선생이 술 마실 때 곁에 두고 어루만졌다는 줄 없는 거문고, 오류(五柳) 선생이란 호를 지을 정도로 버들을 좋아한 취향까지 답습하려고 이것저것 살뜰히도 챙기시는구려.
한데 도 선생에게 망건이 왜 소중했는지 아시오? 술 걸러 서둘러 마시기엔 망건이 제격이었기 때문이오. ‘또다시 통쾌하게 술 마시지 못할 바엔, 머리 위 망건은 괜히 쓴 것이지’(도연명의 ‘음주’ 제20수)라는 말이 바로 그 뜻이오. 술을 거부하는 건 그대가 건성건성 흉내만 내는 것이니 여간 실망스럽지 않소. 시인의 이런 놀림에 술 못하는 상대가 돌연 술을 들이켰을 리는 없겠지만 도연명을 흠모하는 마음만은 서로 일치한다는 사실은 확인했을 듯하다. (이준식의 한시 한 수) 참으로, 술한잔 아니 마시고는 살 맛이 없는 세상이로구나!
충전(充電)....내가 부지런히 걸으면 없던 길도 생기지만 내가 걸음을 멈추면 있던 길도 없어진다. 가지치기를 잘 하면 실한 열매가 열리지만 가지치기를 잘 못하면 열매 키울 힘을 빼앗긴다. 표현하지 않는 사랑과 봉해 놓은 편지는 시력이 아무리 좋아도 보이지 않는다. 사람이 사는 일도, 사람과의 관계도 가꾸지 않으면 잡초가 우거지게 된다. (글, 유당)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아(優雅)한 삶? (3) | 2024.03.16 |
---|---|
한눈 팔지 않는 인생 (0) | 2024.03.16 |
고불고, 고재고재(觚不觚, 觚哉觚哉) 모난 그릇이 모나지 않으면 어찌 모난 그릇이겠는가? (0) | 2024.03.15 |
이편한세상 vs ‘e편한세상 레미안자이 푸르지오’ (2) | 2024.03.15 |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자연을 벗 삼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 (2)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