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불경 (24)
설악산곰의하루

반야심경(般若心經)의 해설....조견(照見)오온개공(五蘊皆空).... 조견(照見)이란 ‘비추어 본다’는 의미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있는 그대로라고 하면 고정관념, 편견, 선입견이나 어떤 상(相)을 짓지 않고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의 관찰이기도 합니다. 부처님도 바로 이 현실의 조견을 통해 확연한 깨달음을 이룰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팔정도의 정견(正見)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부처님은 어떤 형이상학적인 세계라든가, 절대자에 의해서 피동적으로 깨달음을 얻으신 분이 아닙니다. 다만 부처님께서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에 대해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셨기에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다시 말해 부처님의 깨달음은 ..

진심으로 참회하고 비나이다 ..... 참회게(懺悔偈)아석소조제악업(我昔所造諸惡業) 아득한 과거부터 지어왔던 모든 악업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瞋痴) 크고작은모든것이 탐진치로 생기었고종신구의지소생(從身口意之所生) 몸과입과뜻을따라 무명으로 생겼기에일체아금개참회(一切我今皆懺悔) 저희들은 진심으로참회하고 비나이다참회는 부끄러움을 주고 비참한 심정을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참회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부끄러움과 잘못됨을 뉘우쳐 다시는 그와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게 하기 위함이고, 둘째, 잘못된 행위를 함으로써 계속해서 후회와 두려움과 불안에 떨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참회는 반성의 의미와 동시에 ‘무외(無畏, 두려움 없음)’를 이루게 하는 길입니다.수행의 길에서 발전..

어떻게 사는 것이 올곧게 사는 길인가? ..... 의상대사의 210자(字) 법성게(法性偈).... 법성게(法性偈)라 함은 의상조사가 방대한 화엄경의 핵심 사상을 7언 30구 210자로 지은 게송입니다. 불법의 수승하고 오묘한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법성게를 도표화한 것이 ‘화엄일승법계도’입니다. 법성게는 반야심경, 화엄경약찬게와 함께 불자들이 많이 독송하는 기도문이기도 합니다. 정말로 의상대사(義湘大師)의 해탈의 경지, 찬탄(讚嘆)하지 안을수 없습니다. 법성게(法性偈) 의상대사(義湘大師)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諸法不動本來寂) 법의 성..

기독교에서는 선과 악의 경계를 영원히 하나가 될 수 없는 평행선으로 표현하지만 불교에서는 선과 악의 구분이 없다. 다시 말해서 선만을 위해 살아가지도 말고 악을 위해 살아 가지도 않는 중용(中庸)을 지키라고 가르친다. 어쩌면 지나치지도 말고 적당히 살라는 의미가 될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선을 위해 살다가도 악을 향해 가고 있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악을 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보이나 속을 들여다 보면 선을 향하는 마음이 간절하다는 것을 ... 사람과 사람이 만나 진심으로 대화를 나누다 보면 느끼게 된다.전쟁같은 삶을 살다보면 내 것인줄만 알았던 내 것이 아니였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나와는 상관 없을거라 생각했던 세상의 짐이 내 어깨를 짓누를 때가 있다는 것을 살다보면 알게 된다. 마음이 맞지 않..